[LINK] Blunden, H., & Brodsky, A. (2024). A Review of Virtual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s and Outcomes. Journal of Management, 50(6), 2197-2236. https://doi.org/10.1177/01492063231225160
- 지난 반세기 동안 가상 상호작용은 현대 조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. 하지만 직원들이 가상 환경에서 인상을 만들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가 부족하다. 이 논문에서는 가상 인상 관리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고 세 가지 행동 범주(언어적, 비언어적, 메타 행동)를 식별하여 이론적 틀을 개발하고,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한다.
[LINK] Dwivedi, Y. K., Hughes, L., Filieri, R., Zaiton Ibrahim, A., Shah, S. H. A., Balakrishnan, J., ... & Ahuja, V. (2024). Being excluded in the metaverse: Impact of social ostracism on users' psychological well-being and behavioral intentions.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, 68, Article 102806. https://doi.org/10.1016/j.ijinfomgt.2024.102806
- 이 연구에서는 메타버스에서 배척 경험에 대한 개인의 반응을 조사했다. 시간적 필요 위협 모델과 가상 정체성 불일치 모델을 기반으로 두 가지 실험 연구와 하나의 중요한 사건 연구를 통해 메타버스 배척이 개인의 소속감 욕구, 기분, 아바타-자아 불일치,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, 아바타 커스터마이징이 이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분석했다. 연구 1의 결과는 배척당한 참가자가 비배척 참가자보다 소속감 욕구에 대한 위협을 더 많이 느끼고, 덜 긍정적인 기분을 가지며, 아바타-자아 불일치가 더 크다고 인식함을 보여줬다. 연구 2의 결과는 참가자가 할당된 아바타를 사용하여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할 때만 배척 경험이 아바타-자아 불일치의 더 큰 인식을 초래한다는 것을 밝혀냈다. 조절된 매개 분석 결과, 할당된 아바타와 함께한 배척 경험은 아바타-자아 불일치를 증가시켜 아바타를 계속 사용하려는 의도와 메타버스를 재방문하려는 의도를 감소시켰다. 참가자가 아바타를 커스터마이징했을 때는 매개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. 연구 3은 더 큰 표본을 통해 연구 1과 2의 결과를 재확인하고, 질적 분석을 통해 추가 통찰을 제공했다. 이론적 및 실질적 시사점이 강조되었다.